전체보기22
Java6
프로그래밍 언어6
Kafka5
네트워크5
메시지큐4
NestJS3
OOP3
결제3
디자인 패턴3
CS2
gRPC2
protobuf2
Servlet2
Socket2
TypeScript2
멱등성2
AWS1
Buf1
CICD1
DI1
DLQ1
ECR1
ECS1
Fargate1
git1
HTTP1
HTTP21
JNI1
JVM1
Kotlin1
OAuth1
OIDC1
OS1
Python1
Redis1
Spring1
Spring Cloud Stream1
Spring Kafka1
Swagger1
syscall1
Thread1
데코레이터1
동시성 제어1
아키텍처1
알고리즘1
인가1
인증1
인프라1
재시도1
커리어1
환불1
태그: gRPC (2)
protobuf 관리 전략 – Submodule, Buf, Schema Registry
IDL로 protobuf를 도입했을 때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것은 protobuf에 대한 관리 문제입니다. IDL은 통신에서 사용되는 공유 계약으로 이용되어 서비스가 동일한 IDL 스펙을 반드시 따라야하게 만듭니다. 특히 protobuf 같은 경우엔 각 값의 key 값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field number만 이진화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해석하는 측에서 직렬/역직렬화 과정에서 이를 올바르게 해석하려면 양쪽 서비스가 동일한 proto 정의를 공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 protobuf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스


protobuf
Buf
protobuf
Buf
git
gRPC
Kafka
gRPC vs HTTP/REST -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의 부하 테스트로 살펴본 성능과 오버헤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자리 잡으면서 서버 간 통신 방식으로 gRPC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많은 아티클에서 “gRPC는 HTTP/1.1 기반 API보다 빠르다”라는 이야기를 접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로 얼마나 빠른지, 어떤 상황에서 빠른지, 그리고 기존 벤치마크 결과가 얼마나 신뢰할 만한지는 직접 실험해보지 않으면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 배포된 DB I/O, Kafka 등이 연결된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부하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단순히 프로토콜 차원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내부의 풀


gRPC
네트워크
gRPC
네트워크
HTTP2
protobu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