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22
Java6
프로그래밍 언어6
Kafka5
네트워크5
메시지큐4
NestJS3
OOP3
결제3
디자인 패턴3
CS2
gRPC2
protobuf2
Servlet2
Socket2
TypeScript2
멱등성2
AWS1
Buf1
CICD1
DI1
DLQ1
ECR1
ECS1
Fargate1
git1
HTTP1
HTTP21
JNI1
JVM1
Kotlin1
OAuth1
OIDC1
OS1
Python1
Redis1
Spring1
Spring Cloud Stream1
Spring Kafka1
Swagger1
syscall1
Thread1
데코레이터1
동시성 제어1
아키텍처1
알고리즘1
인가1
인증1
인프라1
재시도1
커리어1
환불1
태그: Socket (2)
Java TCP Socket 구현 - 세그먼트, 송수신 버퍼, 바이트 스트림과 소켓 핸들링
시리즈의 지난 글에서 Socket API의 개념 및 명세, Java 언어에서 어떻게 객체화가 되었는 지, 실제 JDK 코드 내에서 어떻게 OS 별 시스템 콜을 호출하는 지 까지 직접 소스코드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Socket API를 직접 사용하고, Java Application에서 TCP 통신을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켓 자체에 대한 개념은 다루지 않으니 지난 글 먼저 보고 오시길 바랍니다. 포스팅에 활용된 전체 소스코드는 아래 링크의 1번 모듈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TCP Segment와 소켓 버퍼


Java
Socket
Java
Socket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언어
커널부터 Socket.java까지 소켓 추상화 스택 분석
서버 개발자의 본질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수많은 추상화 덕분에 개발자가 네트워크 설정을 직접 다루지 않아도, 단순히 Controller라는 개념을 사용해 직관적인 코드만으로 HTTP 서버를 띄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추상화는 본질적으로 동작을 은닉하고 이를 고수준의 언어로 포장합니다. 이 과정이 겹겹이 쌓이다 보니 서버, 통신, HTTP, 서블릿, 톰캣, 스프링, 스프링부트 등을 설명하는 글들은 오히려 불필요한 첨언과 혼란스러


Java
CS
Java
CS
네트워크
Socket
프로그래밍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