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Blog

직접 구현하고 검토를 거친 기술적 선택과 설계를 정리해 남깁니다

태그: OOP (4)

static 키워드의 메커니즘 해부 - TypeScript / Python 편

시작하며 지난 글에서는 Java와 Kotlin에서의 static 키워드를 깊이 있게 분석해봤습니다. JVM 기반 언어들이 공유하는 메모리 구조와 클래스 로딩이라는 메커니즘 위에서, 각 언어의 설계 철학이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관점을 넓혀, TypeScript와 Python이라는 두 언어에서의 정적 멤버 처리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TypeScript와 Python은 JVM과 완전히 다른 런타임 환경과 언어 설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JavaScript를 기반으로 하는 TypeScript


static 키워드의 메커니즘 해부 - TypeScript / Python 편
OOP
TypeScript
+2

static 키워드의 메커니즘 해부 - Java / Kotlin 편

시리즈 집필의 계기 AI를 활용한 코딩이 일상화되면서, 더 이상 특정 언어의 API나 문법에 대한 ‘암기’가 개발자의 핵심 역량이 되진 않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어떤 자료구조를 쓰겠다”, “이런 방식으로 구성하겠다”는 정도의 아이디어만 정리하면, AI가 문법과 구현은 대부분 완성해줍니다. 더불어, 언어들 자체도 점차 닮아가고 있습니다. 각 언어가 가진 고유한 문법 차이보다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이라는 공통 패러다임 아래 구조적 유사성이 강해졌습니다. 특히 실무에서 주력으로 사용되는 TypeScript, Java


static 키워드의 메커니즘 해부 - Java / Kotlin 편
OOP
Java
+2

NestJS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모듈러 모놀리식 아키텍처 가이드

시작하며: NestJS와 아키텍처 NestJS는 Node.js 생태계에서 보기 드물게, 강력한 객체지향 기반의 설계 철학을 갖춘 백엔드 프레임워크입니다. Angular에서 영향을 받은 구조와 함께, 실질적으로는 Spring Framework에 가까운 모듈 기반 구조와 DI(Dependency Injection) 컨테이너, 그리고 데코레이터 중심의 선언적 구성 방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NestJS는 Spring과는 다릅니다. Spring이 @Bean, @ComponentScan 등의 클래스 스캐닝 기반 설정과 런타임 리플렉


NestJS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모듈러 모놀리식 아키텍처 가이드
NestJS
아키텍처
+2

TS & NestJS 디자인패턴 총정리

시작하며: nest.js & typescript의 특성 nest.js는 spring처럼 ts에서도 프레임워크에게 템플릿을 의존한 채, 견고한 백엔드 설계를 도와줍니다. 다만, java & kotlin과 ts의 언어적 차이 및 Angular에서 파생한 nest.js의 설계 철학 자체가 spring과는 꽤나 차이가 있어 spring 진영에서 사용하는 설계 패턴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예시는 본문에서 다룰 예정이지만, 가장 큰 차이는 TS의 특성상 런타임에서 소실되는 JS에 존재하지 않는 기능들, Modul


TS & NestJS 디자인패턴 총정리
NestJS
디자인 패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