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22
Java6
프로그래밍 언어6
Kafka5
네트워크5
메시지큐4
NestJS3
OOP3
결제3
디자인 패턴3
CS2
gRPC2
protobuf2
Servlet2
Socket2
TypeScript2
멱등성2
AWS1
Buf1
CICD1
DI1
DLQ1
ECR1
ECS1
Fargate1
git1
HTTP1
HTTP21
JNI1
JVM1
Kotlin1
OAuth1
OIDC1
OS1
Python1
Redis1
Spring1
Spring Cloud Stream1
Spring Kafka1
Swagger1
syscall1
Thread1
데코레이터1
동시성 제어1
아키텍처1
알고리즘1
인가1
인증1
인프라1
재시도1
커리어1
환불1
전체 게시글 (22)
NestJS DI 원리, 내부 코드 분석 및 디자인 패턴에서의 활용
들어가며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은 모던 백엔드 프레임워크의 핵심 설계 철학이자 아키텍처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estJS 프레임워크의 DI를 프레임워크 코드를 파헤쳐가며 심도 있게 분석하며, 프레임워크 기능들을 우아하게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글에선 NestJS 패키지 내부의 코드가 부분부분 발췌될 예정입니다. 글 읽으시면서 등장하는 코드는 대충 읽지 마시고 꼭 천천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래도 프레임워크 코드다 보니 설계가 되게 깔끔


NestJS
DI
NestJS
DI
디자인 패턴
OAuth provider 별 고려해야 할 점 - 네이버(NAVER)
시작하며 자체 로그인에 비해 간편하고 책임이 덜하며, 좋은 UX도 지닌 OAuth는 최근 소프트웨어 생태계에서 많이 사랑 받고 있는데요! 이를 활용하면 간편하게 회원가입 기능을 만들 수 있을 뿐더러 일부 정보를 제공 받아 온보딩 스탭을 건너뛴다던가, 약관 동의도 원클릭으로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죠. 다만, 실무에서 사용하다 보면 OAuth 제공자별로 각각의 구현 방식 및 제공해주는 API 기능들이 천차만별이라 OAuth 의존적인 로그인 로직을 만들다보면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 OAuth를 새로 도입한다면 도입 전


인증
인가
인증
인가
OAuth